자바 하다가 파이썬으로 강의를 들으려니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많다 ㅠ ㅠ
알고리즘 공부는 진짜 끝이 없는 것 같다 어렵기도 하고.. 다른 공부를 하다보면 자꾸 뒷전으로 미루고 결국 안하게 되는 듯한.. 사실은 하기 싫은것일지도..?ㅋㅋㅋ 하루에 두 문제만이라도 제대로 풀면 항해 끝날 때 200문제는 거뜬히 풀 수 있을 것 같다! 기술매니저님이 2-300문제 정도 풀고나면 알고리즘이 눈에 들어온다고하니 꾸준함으로 승부봐야겠다알고리즘 너 덤벼! 🤓
- 오늘의 목표 :: 아이디어 떠올리는 연습하기, 코드 구현 해보기, 다양한 관점의 풀이 찾아보기
- T.I.L
<웹개발 종합>
* 서버 만들기
1. 폴더 생성 / 가상환경 설치 |
- app.py , templates > index.html - 가상환경 venv : 라이브러리를 담아둘 가상환경 - python -m venv venv |
2. Flask 패키지 설치 |
- Flask 프레임워크 :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 모음 - pip install flask |
from flask import Flask, render_template
app = Flask(__name__)
@app.route('/')
def home():
return render_template('index.html')
if __name__ == '__main__':
app.run('0.0.0.0',port=5000,debug=True)
* GET / POST
GET : Read
POST : Create, Update, Delete
<자료구조 & 알고리즘>
* 조합
: N개의 숫자 중에서 r개의 수를 순서없이 뽑는 경우 → 이 경우의 수가 이항계수!
* 동적계획법 (Dynamic Programming)
: 복잡한 문제를 간단한 여러 개의 문제로 나누어 푸는 방법
: 부분 문제 반복과 최적 부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알고리즘을 더 적은 시간에 풀 때 사용
: 다시 계산하지 말자! 반복되는 구조가 있을 때 여러번 계산할 것 같으니, 결과를 미리 적어두고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진행
:
- 오늘 푼 문제
블랙잭 :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798
2798번: 블랙잭
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(3 ≤ N ≤ 100)과 M(10 ≤ M ≤ 3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, 이 값은 100,000을 넘지 않는 양의 정수이다.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
www.acmicpc.net
분해합 :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231
2231번: 분해합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
www.acmicpc.net
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: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609
2609번: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
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,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.
www.acmicpc.net
'T.I.L. :: Today I Learned > 항해99 14기 온보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월 15일 Day10. (0) | 2023.03.15 |
---|---|
3월 14일 Day9. (0) | 2023.03.14 |
3월 11일 Day6. (0) | 2023.03.11 |
3월 10일 Day 5. (0) | 2023.03.10 |
3월 9일 Day4. (0) | 2023.03.09 |